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야기

소득세 정리

by ck- 2023. 11. 1.

오늘은 소득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득세는 소득이 있는 모든 개인에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세금 종류의 하나이며 누진세에 해당됩니다.

 

누진세인 이유는 소득을 구간으로 나눠 놓았고 그 구간에 따라 세금이 더 높게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제 소득세에 대해 더 정확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세

소득세는 우리가 회사나 전업을 통해 발생하는 근로 소득 이외에도 이자, 배당, 연금 등에서 모두 발생합니다. 이는 종합소득으로 분류되며 이외의 퇴직소득 및 양도소득은 분류과세됩니다.

 

소득세율

그럼 부과되는 소득세율은 어떻게 될까요?

 

자료에 의하면 소득세율은 조금이지만 계속 낮추는 방향으로 기조가 유지 됐습니다. 그러다 박근혜 정부에서 처음으로 소득세율을 상향 조정하였고 문재인 정부에서도 이 기조에 맞춰 상향이 이뤄졌습니다.

 

연 소득에 따른 세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 1,400만 원 이하 : 6%
  •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 15%(누진공제 126만 원)
  •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 24%(누진공제 575만 원)
  • 8,800만 원 초과 ~ 1억 5,000만 원 이하 : 35%(누진공제 1,544만 원)
  •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 38%(누진공제 1,994만 원)
  •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 40%(누진공제 2,594만 원)
  •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 42%(누진공제 3,594만 원)
  • 10억 원 초과 : 45%(누진공제 6,594만 원)

 

일반적인 근로자는 대부분 소득세율 15~24% 이내에 해당될 겁니다. 생각보다 국가에서 많이 떼갑니다..

 

소득 종류

소득세와 소득세율을 알아봤고 소득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까 말한 근로 소득 말고도 금융 소득과 사업 소득, 연금소득, 기타 소득이 있습니다.

 

금융 소득은 이자소득과 배당 소득이 있습니다. 사업 소득은 말 그대로 사업을 통해 발생한 소득을 말합니다.

 

그리고 연금 소득과 기타 소득이 있습니다. 연금 소득도 말 그대로 연금으로 발생하는 소득을 뜻합니다.

 

이 외에도 양도소득, 퇴직 소득 등 다양한 소득이 있고 국가는 모든 소득에 대해 세금을 부과합니다.

 

끝으로

오늘은 이렇게 간단하게 소득세란 무엇이고 소득세율, 소득 종류에 대해 살펴 봤습니다. 세금 관련 분야는 깊게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그 이상으로 쉽게 들어가지 못합니다. 저 역시 세금 관련 지식이 많지 않아서 간단하게 아는 선에서만 적어 봤습니다.